“정부 정책 많다는데, 어디서 확인하죠?”
“LH 청약은 봤는데, 바우처나 소득 조건은 어디서 따져야 하나요?”
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‘마이홈 포털’입니다.
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(LH)가 운영하는 이 플랫폼은 청년·신혼부부·무주택자의
주거지원 정책을 검색, 비교, 신청까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핵심 사이트예요.
오늘은 마이홈 포털을 활용해
공공임대, 청약, 주거급여, 바우처까지 '한 번에' 확인하는 방법을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.
1. 마이홈 포털 바로가기
접속 주소: https://www.myhome.go.kr
PC 및 모바일 모두 이용 가능
회원가입 없이도 정책 검색 가능, 단, 세부 조건 계산은 로그인이 필요
2. 가장 많이 쓰는 핵심 메뉴 4가지
① 나에게 맞는 주거지원 찾기
[청년/신혼/무주택/저소득] 중 유형 선택
나이, 소득, 자산, 가구 수 입력
현재 가능한 주거지원제도 리스트 자동 정리
TIP: “나는 지원 대상이 되는지?” 고민되면 이 메뉴 먼저!
② 공공임대주택 검색
위치 기반으로 현재 공고 중인 공공임대 단지 검색 가능
LH, SH, 지자체 운영 주택도 통합 검색
입주자격 조건, 평형, 모집일정 상세 확인
💡 TIP: 공고문 PDF까지 바로 확인 가능! 청약 링크도 바로 연결됨
③ 주거급여·바우처 신청 안내
주거급여 대상자 확인 + 예상 지급액 시뮬레이션 가능
청년 월세지원, 에너지 바우처 등 간편 요약
복지로 신청페이지와 직접 연동
④ 마이홈 콜센터 상담 연결
궁금한 점 있으면 온라인 문의 가능
‘정책 상담 게시판’에 질문 남기면 전문가 답변 (보통 1~2일 내)
3. 마이홈에서 확인 가능한 청년 정책 예시
공공임대주택 (청년) | 보증금 + 월세 지원, 전용26㎡~59㎡ | 만 19~44세, 무주택, 소득 130% 이하 |
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| 월 20만 원, 최대 12개월 현금 지원 | 만 19~34세, 기준중위소득 60% 이하 |
에너지 바우처 | 전기/가스 요금 연 최대 18만 원 감면 | 기초·차상위/청년 1인가구 포함 |
전세보증금 반환보증 | 전세 계약 보증, 피해 시 전세금 환급 | 임차인 누구나 가능 (보증 가입 필수) |
"모르면 손해, 알면 기회"
청년 주거정책은 각 부처별로 흩어져 있어 파편화된 정보가 많지만,
마이홈 포털은 이 모든 걸 ‘한 화면’에 정리해 보여주는 유일한 플랫폼이에요.
아직 청약까지는 아니더라도,
✔ 소득 기준 계산
✔ 입주 자격 확인
✔ 지금 가능한 제도만 보기
이 세 가지만 활용해도 생활비를 크게 아낄 수 있는 정보가 쏟아집니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-패스 체크카드 완전 정리|교통비 절감부터 생활비 할인까지 (6) | 2025.05.31 |
---|---|
2025 청년도약계좌 vs 청년내일저축계좌, 뭐가 어떻게 바뀌었을까? (2) | 2025.05.01 |
2025년 전기·가스요금 할인 제도 총정리 (청년·저소득층 대상) (0) | 2025.04.20 |
2025년 전세사기 예방책, 꼭 알아야 할 핵심 변화 정리 (1) | 2025.04.20 |
2025년 꼭 알아야 할 생활 밀착형 정책 정리 (청년·서민 중심) (2) | 2025.04.20 |